본문
효율성과 투명성 강화 위한 전자청구서 도입
시범 운영 중인 B2G 시스템, 내년 B2B로 확대
법적 기반 마련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 필요
▲경제재정부 산하 디지털경제국은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전자청구서 시스템을 의무화하기 위해 시범 운영을 진행하고
있다./이미지=Khmer Times
캄보디아 정부가 내년부터 기업 간 거래(B2B)를 대상으로 전자청구서(e-invoicing) 시스템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는 기업-정부(B2G) 거래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 중이며, 향후 단계적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디지털 청구서 도입 추진 배경
캄보디아 경제재정부 디지털경제국 관계자 멩청훈(Mengchhhounhg Keang)은 “현재 B2G를 시범 운영 중이며,
이 시스템은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B2B로 확대해 내년부터 의무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늦어도 3년 내에는 전면 도입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자청구서는 종이 영수증을 대체해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 전송과 검증이 모두 디지털로 이루어진다. 멩청훈은 “이 시스템은 투명성과 책임성을 개선하며 세금 규정 준수를 강화하고, 캄보디아가 아세안 디지털 경제로 나아가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범 운영과 기대 효과
캄보디아 정부는 지난주부터 B2G 거래 등록을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효율성과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멩청훈은 “이 시스템은 모든 거래 내역을 명확하게 기록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소규모 비즈니스 운영자들은 전자 결제와 추적의 편리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프놈펜 참까르몬 지역에서 식료품점을 운영하는 반 호롱(Vann Hourlong)은 “ABA 은행 모바일 앱을 주로 사용하며 현금을 보관할 필요가 줄어들었다. 예산 관리와 거래 기록 추적이 훨씬 수월해졌다”고 전했다.
법적 프레임워크 마련 필요
다만, 법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한
법률 전문가는 “캄보디아가 빠르게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고 있지만 법률 체계가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B2G 전자청구서는 2019년부터 의무화됐으며, 2026년부터는 B2B 전자청구서도 필수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러한 글로벌 추세에 발맞춰 캄보디아도 전자청구서 시스템을 확대 도입하면서 투명한 경제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문: Cambodia to make e-invoicing mandatory next year - Khmer Times 기사를 편집하여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