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동남아시아 2025년 경제 전망

profile_image
작성자 최영조
입력 : 24-11-18 11:12

본문

31b1b-673aa20b59bed-49cd76d9b4c30f5f2f5b99fe67c351b8035d9c7d.png

주요 기관의 동남아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1) [ ] 안은 전망치 발표 시점. 2) * 2024 9월 전망치임.

 

[인도네시아] 양호한 민간소비 증가, 신정부의 정부지출 확대 등이 예상됨에 따라 2025년 경제성장률은 2024년과 비슷한 5.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2025년 최대 상품수출 대상국인 중국의 저성장 지속이 예상되나 관광 부문을 중심으로 서비스 수출 증가가 이를 상쇄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수출 증가는 2024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전망됨.

- 물가안정 전망, 공무원 임금 인상, 양호한 소비자신뢰지수 등에 비추어 견고한 민간소비 증가가 전망되며, 차기 정부가 2025년부터 추진 예정인 무상 급식·우유 제공 추진 등 주요 정책 프로그램 집행은 정부지출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

2025년 프라보워 신정부는 학생 2,000만 명에게 무상급식 및 우유 제공을 시작할 예정이며, 지출예산은 71조 루피아(6조 원)로 추정됨.

- 2025년 인도네시아 경제 리스크 요인으로는 최대 교역 파트너인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 원자재 가격 하락시 경상수지 악화 가능성 등이 있음.

 

[말레이시아] 전자제품 수출 증가, 관광 부문 회복,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 증가, 대규모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추진 등의 요인에 기인해 2025년에 4.5% 성장하며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됨.

-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인해 말레이시아가 ‘중국+1’ 생산기지로서 주목받으며 대말레이시아 FDI 증가세가 지속되어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수출호조가 예상됨.

- 말레이시아는 국가경쟁력 및 소득수준 향상, 투자유치, 첨단산업 육성, 탄소중립 등을 위해 2023년 하반기부터 마다니경제, 신산업정책 2030(NIMP 2030), 국가에너지전환로드맵(NETR), 국가반도체전략(NSS) 등 굵직한 경제정책을 잇달아 발표했으며, 이와 관련된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수출, 고용, 소비 등 경제 전반에 긍정적 파급효과가 예상됨.

- 말레이시아는 GDP 대비 교역 비중이 132%(23)로 높기 때문에 주요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는 대외 불확실성 심화에 따른 수요 감소, 지정학적 갈등 고조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 심화 등을 들 수 있음.

말레이시아는 가스·석유·고무·주석 등 천연자원 부국으로, 광물성연료(HS-27)가 전자제품에 이은 2대 수출품목임.

 

[필리핀] 물가 안정·완화적 통화정책 추진·경기회복에 따른 민간소비 증가, 대규모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투자 증가, 내수 회복 및 관광객 유입 확대에 따른 서비스업 성장에 기인해 2025년에 5.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페소 약세 완화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 쌀 수입관세 인하(35%15%, 24.7.8. 시행) 등의 영향으로 물가가 안정됨에 따라 중앙은행이 2024년 말에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경제의 주축인 소비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됨.

- 다만 주요 선진국의 성장 둔화, 중국경제 저성장, 미국 통화정책 결정에 따른 불확실성 심화, 지정학적 갈등 심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등 하방 리스크 요인을 주시할 필요가 있음.

 

[태국] 정치 불안에 대한 우려 증가에도 불구하고, 관광업 회복세 지속, 정부지출 증가, 양호한 민간소비에 힘입어 2025년 경제성장률은 2.9% 2024년에 비해서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

- 2024 8월 세타 타위신 전 태국 총리가 부패 인사의 장관 임명을 사유로 해임되고, 패통탄 친나왓이 신임 총리로부임하면서, 태국의 불안정한 정치환경에 대한 대내외 우려가 증가함.

- 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 추세 유지, 정부 차원의 관광업 육성 정책(비자 면제, 신규 항공사 출범 지원 등)에 따라 태국 주요 산업인 관광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2024 1~8월 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는 2,357만 명으로 전년동기 1,787만 명 대비 31.9% 증가한 가운데, 2025년에도 증가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함.

- 리스크 요인으로는 중국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 기상이변에 따른 농작물 피해, 높은 가계부채 이슈 등이 있음.

 

[베트남] 상반기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4 6% 후반의 성장이 기대되었으나 10년래 최대 규모의 태풍 야기가 30억 달러를 넘는 경제적 피해를 야기해 2024 6% 초중반, 2025년은 6% 중반의 성장률이 전망됨.

- 2024년 상반기 기대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다수의 기관은 2024년 베트남 경제 성장률을 상향 조정했으나 9월 초 첨단산업 생산시설이 집중된 베트남 북부를 강타한 태풍 야기가 30억 달러가 넘는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자 2024년 성장률을 0.15~0.5%p 하향 조정함.

- 그러나 대외 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 회복과 이에 따른 제조업의 빠른 회복,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등에 따라 3/4분기 7.4%의 성장률을 기록하자 IMF, World Bank와 같은 국제기구 및 다수의 투자은행은 2024년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을 다시 상향 조정함.

- 상존하는 대외 리스크는 수출 위주의 베트남 경제에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안정적 대내 경제여건, 수해 복구를 위한 공공투자와 이의 승수효과, FDI 유입 및 수출수요 회복 등에 따라 베트남의 성장은 지속될 전망임.

특히 베트남의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라 보호무역주의적 조치 부과 등 자국우선주의 기조가 지속 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하나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시기, 중국과 국경을 마주한 지정학적 중요성에 따라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됨

 

출처: “2025년 세계경제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24.11.14)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