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29년 최빈개도국 졸업 결정
무역 특혜 손실 및 자립 경제로의 전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경쟁력 강화 전략
▲훈마넷 총리는 캄보디아를 외부 지원 없이 자립할 수 있는 국가로 만드는 꿈을 강조하며, 이는 캄보디아 정부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는 캄보디아가 독립적으로
설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이미지=Khmer Times
캄보디아가 2029년 최빈개도국(LDC) 지위를 졸업하기 위한 도전에 나섰다. 훈마넷 총리는 캄보디아를 외부 지원 없이 자립할 수 있는 국가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강조하며, 이에 따라 캄보디아 정부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제적 변화와 도전 과제
캄보디아의 최빈개도국 졸업은 경제적 성과를 상징하지만, 동시에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제공하던 무역 특혜와 원조의 감소라는 대가를 수반한다. 특히 의류, 신발, 여행용품(GFT) 수출에 의존하는 캄보디아 경제는 새로운 시장 접근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온 뽀안모니로앗(Aun Pornmoniroth) 경제재정부 장관 겸 부총리는 “캄보디아는 저개발국으로서 많은 혜택을 받았지만,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저리 대출과 같은 지원이 점차 축소될 것이다”라며, 긴급 상황에 대비한 추가 자원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경쟁력 향상과 전략적 준비
캄보디아 상무부 장관 쩜 니물(Cham Nimul)은 "LDC 졸업은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FTA 활용 극대화: 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아세안 플러스 원 협정, 지역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및 캄보디아-중국, 캄보디아-한국, 캄보디아-UAE 간 양자 자유무역협정을 최대한 활용해 무역을 확대하고 수출 기반을 강화
-새로운 산업 투자 유치: 생산 기반 확장, 가치사슬 연결, 글로벌 공급망과의 연결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회복력을 지원
-무역 촉진 강화: 무역 절차를 간소화하고 투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 신산업과 첨단 제조업의 투자를 유치
-전자상거래 및 디지털 무역 촉진: 온라인 플랫폼 개발 및 디지털 무역 정책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접근성을 확대
-내수 시장 강화: 국내 생산 품목을 개발해 국내 수요를 충족하고 수출을 지원
-정책 및 규제 체계 강화: 무역 관련 법과 정책을 개선하고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
-개발 파트너와 협력: LDC 졸업으로 인한 영향 완화와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 및 실행 계획 수립
참 니물 차관은 이러한 조치들이 캄보디아의 경제를 강화하고, 2030년 중상위 소득국, 2050년 고소득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장과 리스크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주요 경제국(중국, 유럽, 미국)의 성장 둔화가 캄보디아 경제에 잠재적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캄보디아 상무부에 따르면 2024년 국제 무역량은 500억
달러를 초과했으며, 주요 수출품으로는 의류(89억 4천만 달러), 여행용품(17억 8천만 달러), 신발(15억
달러), 쌀(15억 달러)이
포함되었다.
낙관적 전망
UNDP 캄보디아 대표 알리사르 차커(Alissar Chaker)는 “LDC 졸업은 캄보디아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로, 도전과 함께 강력하고 회복력 있는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라며, 이번 전환이 국가의 경제적 잠재력을 더욱 끌어올릴 수 있음을 강조했다.
빈 트로체이(Bin Troachhey) 기획부 장관은 졸업 이후 캄보디아가 직면할 변화와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스무스 트랜지션 전략(Smooth Transition Strategy)’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 전략은 캄보디아 정부의 ‘오각전략 – 1단계’와 연계되어, 다음과 같은 핵심 분야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인적 자본 강화: 교육과 기술 훈련을 통해 노동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경제 다각화: 전통적인 수출 품목 외에도 새로운 산업과 상품 개발을 촉진
-무역 시장 확대: 새로운 무역 협정 체결과 기존 시장의 심화된 활용을 통해 수출 기반을 강화
-외국인 투자 유치: 매력적인 투자 환경 조성을 통해 해외 자본을 유입
-과학기술 진보: 디지털 경제와 혁신 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
-사회적 지원 강화: 빈곤 완화와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안전망 강화
차커는 또한 “캄보디아는 이번 전환을 통해 국제 사회에서 더 높은 신뢰와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라며, 유엔개발계획(UNDP)이 캄보디아의 전환 과정을 지원하고 경제적 독립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 목표를 실현하는 데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캄보디아는 이 전략을 통해 글로벌 경제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 Cambodia’s LDC graduation faces risks as well as opportunities - Khmer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