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 AI 경쟁, 캄보디아 디지털 경제 발전 기회 제공
AI 기술 접근성 향상으로 기업 비용 절감 및 산업 자동화 촉진
공공정책 및 경제 성장에 AI 활용 방안 모색 필요
이미지=Pexels
미국과 중국 간 인공지능(AI)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캄보디아는 AI 기술 확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국가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중국 스타트업 ‘DeepSeek’이 개발한 AI 모델 ‘DeepSeek-R1’이 출시되면서, AI 시장에서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모델의 추론 능력은 미국의 ‘ChatGPT’ 및 ‘Google Gemini’와 비슷하거나 일부 기능에서는 이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DeepSeek-R1은 MIT 라이선스를 통해 무료로 상업 및 학술 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어 빠르게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AI 기술 경쟁이 심화되면서 캄보디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이 AI 기술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캄보디아 기업과 소비자, AI 경쟁 속 혜택 기대
캄보디아 기술 기업 ‘Codingate’의 공동 창립자인 속 소페악몽콜(Sok Sopheakmonkol)은 크메르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AI 경쟁이 캄보디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긍정적이다. AI 모델을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 기업들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AI 활용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가능해질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자동화가 촉진되면서, 캄보디아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페악몽콜은 미국과 중국의 AI 경쟁이 캄보디아 기업들에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할 것이며, "ChatGPT와 같은 프리미엄 AI 모델도 여전히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AI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캄보디아 디지털 경제와 AI 활용 전략
캄보디아의 유명 경제학자 둣 다린(Duch Darin) 역시 AI 기술의 발전이 캄보디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기술은 다양한 산업의 자동화를 촉진하고, 콘텐츠 제작 및 비즈니스 운영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캄보디아 디지털 경제 및 사회 정책 프레임워크(Cambodia Digital Economy and Society Policy Framework)와 연계하여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다린은 소규모 기업(SME)들이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 핀테크, 물류 산업에서 AI를 활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AI는 공공 서비스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보건 및 교육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을 지원하고 디지털 접근성을 확대할 수 있다. AI 활용이 확산되면 데이터 과학, 머신러닝, 디지털 전략과 같은 고부가가치 직종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다린은 AI 기술의 지속 가능한 도입을 위해 캄보디아가 혁신과 윤리적 AI 실천을 균형 있게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글로벌 모범 사례를 반영한 공공 정책과 규제를 개발하고, 캄보디아 법 및 정책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책임 있는 AI 활용을 촉진하면서도 경제 및 사회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AI 협력과 지식 공유 필요
캄보디아 산업과학기술혁신부의 보고서 "캄보디아 AI 현황과 미래 전망"에서는 AI 발전을 위한 다자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AI 개발에서 협력은 필수적이며, 특히 다학제 및 다국적 연구, 혁신 및 개발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또한, 여러 국가가 보안, 비즈니스 및 사회경제적 성장과 관련된 전략적 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AI 기반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이 이러한 협력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미·중 AI 경쟁 속 균형 유지 필요
아시안비전연구소(Asian Vision Institute)의 청 킴롱(Chheng Kimlong) 원장은 캄보디아가 AI 기술 경쟁 속에서 중국과 서방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DeepSeek-R1의 부상은 현대 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서구 AI 모델 또한 캄보디아에 이점을 제공한다"며,
"최종 선택은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어떤 모델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킴롱은 AI 기술 경쟁이 지정학적 갈등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이용해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과거에도 과학기술 혁신이 강대국 간 영향력 경쟁의 주요 무대가 되었던 역사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DeepSeek-R1과 같은 무료 AI 모델과 ChatGPT와 같은 유료 AI 모델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캄보디아는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원문: Cambodia set to benefit from ‘battle of the AIs’ - Khmer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