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중국의 16가지 소비 트렌드

profile_image
작성자 CAMBODIAINSIGHT
입력 : 24-11-29 13:32

본문

최근 중국 소비 시장은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해 사회구조가 급변하고, 디지털 발전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기술 확장이 일어나면서 새로운 변화를 겪고 있다. 비록 팬데믹 이후 다소 완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세계 2위 규모의 소비 시장으로서 중국은 여전히 중요한 시장이다.

KOTRA는 시장에서 나타나는 주목할 만한 소비 현상과 문화를 16가지로 정의하고, 이를 선도하는 사례와 그렇지 못한 사례를 찾아 원인을 분석하였다.


■가치 변화

이성 소비
-
품질과 실용성을 강조하며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소비를 선호하는 경향
-
저렴하지만 가성비 높은 제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맞춤형 데이터와 추천 서비스 등을 활용해 스마트한 소비 방식이 확산

자아 실현
-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소비가 증가하며, 자기개발 및 정신적 만족을 위한 소비가 주목받음
-
건강, 자기 관리, 취미활동과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의 수요가 확대
-
개인의 행복을 중심으로 소비 우선순위가 변화 중

여성 경제
-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독립이 증가함에 따라 여성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
뷰티, 패션, 건강 관련 소비가 활발하며, 여성 고객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가 개발됨
-
여가와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여성 맞춤형 상품이 주목받고 있음


8304dfcb8693311f0894bf64ba7b0770_1732854457_1651.png
이미지=KOTRA


개성화 추구
-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
-
자신만의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맞춤형 제품이 성장 중
-
기능성과 디자인 모두를 만족시키는 고급화된 상품 개발이 활발

 

■사회 구조 변화

고령 경제
-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노인 세대를 겨냥한 상품 및 서비스가 확대
-
건강 보조 제품, 의료 기기 등 실버 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됨
-
노인을 위한 스마트 기기와 기술 기반 서비스가 새롭게 부상

세컨드 키즈
-
두 자녀 정책 이후 자녀를 위한 프리미엄 제품 소비가 증가
-
어린이용 안전 제품, 교육용 스마트 기기 등 가족 중심 소비 트렌드가 확산
-
자녀의 성장과 교육을 중시하는 부모들이 프리미엄 브랜드에 지출을 늘리는 추세

힐링과 웰빙
-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건강, 휴식, 심신의 안정을 위한 제품이 인기
-
명상, 요가, 건강 관리 중심의 소비가 확산되며, 힐링 공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짐
-
자연 친화적이고 휴식을 제공하는 경험 소비가 인기를 얻고 있음


8304dfcb8693311f0894bf64ba7b0770_1732854691_7958.png
이미지=Pexels

 

■디지털 환경 변화

AI와 스마트화
-
인공지능(AI) 기술이 소비 생활에 깊이 스며들며 스마트 제품과 서비스가 증가
-
스마트홈 기기, 웨어러블 기기 등이 주요 소비 품목으로 자리 잡음
-
기술 발전을 통해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음

디지털 리테일
-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전자상거래와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확대
-
라이브 커머스와 소셜 미디어 쇼핑이 대세로 자리잡으며, 디지털 소비가 일반화됨
-
빠른 결제와 실시간 배송 등 소비자 편의를 높이는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발전

 

■녹색 소비

건강 우선
-
건강 관리와 웰빙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
-
천연 성분을 활용한 제품과 건강 관련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음
-
헬스케어 제품, 웰니스 서비스 등 관련 시장이 꾸준히 성장

친환경 소비
-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제품과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
-
탄소 배출 저감을 목표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제품이 주목받고 있음
-
친환경 이미지 구축이 기업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음


8304dfcb8693311f0894bf64ba7b0770_1732854506_5495.png
▲중국 최초의탄소제로 우유를 내놓은 중국 1위 우유기업이리(伊利)’의 제품/이미지=KOTRA 

 

■유통 방식 변화

구독 경제
-
정기적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받는 구독 모델이 확대되고 있음
-
자동차, 전자기기, 의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독 서비스가 도입됨
-
구독을 통해 편리함과 지속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자가 증가

AI 기반 쇼핑 서비스
-AI
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소비자의 취향에 맞춘 쇼핑 경험 제공
-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서비스가 활성화됨
-
개인화된 소비 경험을 위한 스마트 쇼핑 기술 개발이 활발

 

■소비 환경 변화

효율성과 편리성
-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효율적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이 확산됨
-
실시간 배송, 무인 매장 등 편리한 쇼핑 방식을 지원하는 서비스가 인기
-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편리한 소비 경험 제공이 중요하게 여겨짐

모멘텀 소비
-
소비자들이 빠른 결정을 내리고 즉각적으로 구매로 이어지는 소비 행태가 증가
-
온라인 리뷰, 실시간 구매 데이터 등이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미침
-
충동적인 소비와 빠른 반응을 유도하는 디지털 마케팅 전략이 활용됨

오프라인 유통 부문
-
기존 대형 매장 중심의 유통 구조에서 소규모 매장과 편리성을 강조한 유통으로 전환
-
지역 밀착형 매장과 온라인 플랫폼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확산
-
경험 기반의 오프라인 매장이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있음

 

출처: “사례로 이해하는 중국 소비 트렌드”, KOTRA(2024.11)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