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30년까지 연평균 6% 성장 전망, 최대 8%까지 가능성
‘다이내믹 타임 워핑’ 기법 활용한 성장 예측
수출 중심 산업화 및 거버넌스 개혁이 성장 지속 가능성 높여
이미지=Khmer Times
국제통화기금(IMF)은 캄보디아가 2030년까지 연평균 약 6%의 경제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중국, 일본, 한국의 성장 패턴을 따른다면 최대 8%까지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IMF는 월요일(현지 시간) 워싱턴에서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경제는 중요한 갈림길에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경제 회복이 지속되고 있지만, 그 속도는 고르지 않다"며 "신용 증가율이 급격히 둔화되면서 금융 부문의 취약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책 입안자는 단기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경제 회복을 보장하는 동시에, 중기적으로 개발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장 동력의 재정비 필요
IMF는 캄보디아가 2030년 최빈개발국(LDC) 지위를 졸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앞으로는 보다 회복력이 강하고 다각화된 성장 동력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MF는 캄보디아의 2030년 중기 성장 전망을 예측하기 위해 새로운 기계 학습 기법을 도입했다. 이 기법은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스리랑카, 일본, 방글라데시, 한국, 폴란드, 필리핀, 볼리비아, 지부티, 중국, 베트남, 페루, 모로코, 태국, 우즈베키스탄 등 유사한 경제 조건을 가진 국가들의 과거 성장 궤적을 분석한다.
‘다이내믹 타임 워핑’ 기법 적용
IMF는 ‘다이내믹 타임 워핑(Dynamic Time Warping)’이라는 기법을 활용해 캄보디아와 유사한 경제적 특성을 보였던 국가들의 특정 시점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캄보디아 경제 상황과 가장 유사한 사례들을 기반으로 예측한 결과, 2030년 캄보디아의 평균 성장률은 5.8%, 중위 성장률은 6.3%로 나타났다.
캄보디아가 예상보다 우수한 성과를 낼 경우, 7.5%에서 7.9%까지 성장할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IMF는 "이러한 초과 성장은 이후 둔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지속적인 고성장을 유지할 확률은 통계적으로 낮다"고 분석했다.
일본, 한국, 중국의 예외적 성장 사례
보고서는 일본(1956~1967년), 한국(1971~1986년), 중국(1996~2002년)과 같은 ‘예외적인 초고속 성장 사례’도 언급했다.
이들 국가는 수출 중심 산업화 정책과 글로벌 가치 사슬(Global Value Chain)에 전략적으로 통합되는 방식으로 장기간 높은 성장률을 유지했다.
또한, 교육 및 보건 인프라를 통한 인적 자본 투자, 기업 환경 개선, 재산권 보호, 민간 부문 성장을 촉진하는 제도 개혁 등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의 핵심 요소로 꼽혔다.
캄보디아의 지속적 고성장 가능성
IMF는 캄보디아가 인적 자본 축적과 노동 생산성 측면에서 다소 뒤처져 있지만, 중국, 일본, 한국의 사례를 참고하면 지속적인 고성장 국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단기적으로는 산업 다각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수출 기반 확대, 글로벌 공급망 내 입지 강화, 복합 제품 및 서비스 생산 역량 제고가 요구된다.
또한, 고부가가치 산업, 생산 네트워크, 물류 및 저비용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캄보디아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농업 부문에서도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혁이 필요하며, 특히 농산물 가공 산업 육성을 통해 부가가치 생산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 성장의 걸림돌
IMF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적하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높은 전기 요금을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전기 요금은 인접국인 베트남의 두 배 수준에 달하며, 이는 기업 운영 비용 증가로 이어져 투자 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IMF는 "에너지 비용을 낮추고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종합적인 에너지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법률 집행 및 해석의 불확실성, 거버넌스 문제 등도 외국 기업들이 지적하는 주요 장애물로 지목되었다.
보고서는 "타겟을 정한 개혁을 통해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하고, 투명성을 높이며, 투자자 신뢰를 증진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원문: IMF employs new technique to evaluate Cambodia’s medium-term growth potential - Khmer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