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훈마넷 총리, 캄보디아 제품의 무역 확대를 위해 6가지 권고

profile_image
작성자 CAMBODIAINSIGHT
입력 : 24-12-14 11:42

본문

무역 촉진 위해 상무부에 제시된 주요 권고

디지털화와 국제 전시회를 통한 시장 확장

‘LDC 졸업준비와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 전략

 

595bb1226980c11394f36c47d7783aa3_1734144113_8361.png
▲이미지=Khmer Times 


훈마넷 캄보디아 총리는 캄보디아 무역 부문 발전을 촉진하고 캄보디아 제품이 국내외 적합한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무부에 6가지 권고를 제시했다.

총리는 12 13일 금요일, 프놈펜에서 열린 2024 캄보디아 무역 박람회(Cambodia Trade Expo 2024)의 개막식에서 이같이 발언했다. 이번 박람회는 "무역의 새로운 시대(A New Era of Trade)"를 주제로 진행됐다.

 

1. 현 시장 강화와 신규 시장 확장 전략 지속

캄보디아 제품이 국내외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현재의 시장을 강화하고 신규 시장을 탐색하는 접근법을 지속적으로 실행한다. 이를 위해 지역 및 세계 경제와의 통합을 심화하고, 양자, 지역 및 다자간 무역 협정을 통해 관세 혜택이 있는 새로운 시장을 탐구해야 한다.

 

2. 외국인 직접 투자(FDI) 유치 촉진

기존 잠재 산업의 회복력을 지원하기 위해 역방향 연계 산업에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한다. 특히 캄보디아가 2029년 최빈개도국(LDC) 졸업을 준비함에 따라 원활한 진행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해야 한다.

 

3. 국내외 무역 전시회 활성화

국제 무역 및 세계 전시회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국내외에서 국제 전시회를 개최한다. 특히, 상무부의 수출 촉진 메커니즘을 통해 수출 가능성을 확대하고, 유럽연합(EU), 영국, 호주 등 주요 시장에서의 국제 전시회에 민간 부문 참여를 더욱 장려해야 한다. 국내 전시회에서는 공급자와 구매자 간 매칭을 우선시하여 목표 제품에 집중해야 한다.

 

4. 전시회 관련 업무 현대화

전시회 관리를 위해 기술 플랫폼을 활용하고, 민간 부문 및 공공 기관의 전시회 허가 요청을 시기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5. LDC 졸업 준비를 위한 전략적 개발

2029년 캄보디아가 LDC(최빈개도국) 지위를 졸업한 후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졸업 이후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할 접근법과 전략을 제안한다. 또한, 2050년 고소득 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한 캄보디아의 비전 2050을 실현하기 위해 기여한다.

 

6. 디지털 경제 및 사회 정책 프레임워크와 디지털 정부 정책의 비전 달성

2021-2035 캄보디아 디지털 경제 및 사회 정책 프레임워크와 2022-2035 디지털 정부 정책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상무부는 디지털화를 통한 공공 서비스 현대화를 촉진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제 효율성을 높이고, 무역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디지털 관리 및 공무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기적인 교육과 디지털 리더십 육성을 통해 디지털 기술 성장의 이점을 극대화해야 한다.

훈마넷 총리는 캄보디아 무역 부문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무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문: PM Hun Manet gives six recommendations for the Ministry of Commerce to boost trade and market for Cambodian products - Khmer Times

많이 본 뉴스